인도네시아, 롬복의 이모조모

[스크랩] 인니의 현지 일반정보

롬복시인 2013. 3. 9. 16:31

● 시차
 

인도네시아에는 3가지 시간대가 있다.

    수마트라, 자바, 깔리만딴의 중부와 서부는 한국보다 2시간이 늦고,
    발리, 남부와 동부 깔리만딴, 술라웨시는 한국보다 한 시간 늦다.
    이리안자야, 말루꾸는 한국과 시간이 같다.

    서울이 정오(12시)일 때, 발리는 오전 10시, 자카르타는 오전 8시이다.
 
● 근무시간
 

관공서 : 월-목 08:00-16:00, 금 08:00-16:30
             토요일 휴무
은행 : 월-금 08:30-14:30
         (토요일은 은행에 따라 12:00까지 영업)
일반상점 : 보통 09:00-20:00
                (사리나 백화점과 같이 24시간 영업하는 곳도 있다.)

 
● 공휴일
 

      공휴일 (2005년 기준)

      1월 1일   신정
      1월 21일   회교 성인일
      2월 9일   구정
      2월 10일   이슬람 신년
      3월 11일   힌두 신년
      3월 25일   예수 사망일
      4월 22일   마호멧 탄신일
      5월 5일   예수 승천일
      5월 24일   석가 탄신일
      8월 17일   독립기념일
      9월 2일   마호멧 승천일
      11월 3 ~ 4일   러바란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종교관련 휴일은 매년 변동


● 복장
 

열대성 기후를 보이는 인도네시아의 옷차림은 티셔츠ㆍ반바지ㆍ샌들을 준비한다.
다만 노출이 심한 옷은 피하는 것이 예의상 좋다.
공식기관을 방문 또는 공식 모임에 참석할 때에는 양복 및 넥타이가 필요하다.
인도네시아의 고유복장 '바틱'은 정장으로 간주된다.
고산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스웨터를 준비하여야 한다.

 
● 음식
 

인도네시아인의 주식은 우리와 같은 쌀이다.
인도네시아의 먹거리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나시짭짜이(Nasi Cap Cai)
    중화요리의 메뉴지만 거리의 식당에서 흔히 먹을 수 있다. 밥에 야채와 고기를 넣어 끓인 국물을 얹은 요리이다.

  • 미바소(Mie Bakso)
    볼 모양의 어묵(소고기)를 넣은 담백한 맛의 라면. 양이 적은 편이라 간식에 알맞다.

  • 이깐고랭(Ikan Goreng)
    생선튀김. 여러 종류의 생선을 튀긴 것으로 보통 소스를 선택해서 주문한다.

  • 부부르아얌(Bubur Ayam)
    쌀로 만든 죽에 닭고기를 꾸미처럼 얹은 요리. 주로 인도네시아 간장인 께짭아신과 함게 먹으며, 마늘을 볶아 말린 것, 콩을 볶은 것, 얇게 썰은 파, 생달걀 노른자 등이 얹어 나온다.

  • 나시고랭(Nasi Goreng)
    우리나라의 볶음밥과 유사해 한국사람 입맛에 잘 맞는 요리. 주재료는 밥, 닭고기, 닭똥집, 계란, 인도네시아 간장 등이다.

  • 사떼(Sate)
    우리나라 꼬치요리와 비슷한 요리로 닭고기, 염소고기, 쇠고기 등을 꼬치에 끼워 숯불에 구워 땅콩소스를 곁들여 낸다.

  • 가도가도(Gado-gado)
    여러가지 채소를 섞은 인도네시아식 샐러드. 주로 삶은 양배추, 삶은 감자, 삶은 숙주나물, 오이, 땜뻬, 두부 튀긴 것 등이 주재료이고 땅콩소스와 버무려 먹는다.

  • 른당(Rendang)
    쇠고기장조림과 거의 비슷하나 소스는 코코넛을 갈아 만든 것을 사용하고 카레향료를 넣어 만든 것도 있다.

  • 미아얌(Mie Ayam)
    라면 위에 닭고기와 야채를 얹은 닭국수 요리. 국물은 닭고기 육수 또는 바소를 사용한 육수를 사용하며 따로 나온다.

인도네시아 음식은 돼지고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회교도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볶고 튀기는 음식이 대부분인 이유는 더운 날씨와 냉장시설 부족에 기인한다고 한다.

 
● 식수
 

인도네시아의 수도물은 그리 맑은 편이 아니며 석회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그냥 마시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식수는 거의 사서 마시며, 사용 할 물은 개인이 직접 우물을 파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우물 역시 지역에 따라, 또는 깊이에 따라 물의 깨끗함에 차이가 생긴다.

 
● 음료/주류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홍차를 물 마시듯 많이 마신다.
또 녹차도 많이 생산되어 즐겨 마신다.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맥주는 빈땅 맥주(Bir Bintang)이다. 한국 맥주보다 맛이 강하다.
무슬림이 대부분인 인도네시아에서는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다.

 
● 식당
 

레스토랑(RESTORAN), 루마마깐(RUMAH MAKAN), 와룽(WARUNG) 등은 모두 밥을 먹을 수 있는 음식점이다.
최근에는 레스토랑과 루마마깐의 구별이 없어져가고 있지만, 레스토랑은 호텔의 레스토랑이나 거리의 대규모 식당을 말하는 것이 보통이며, 루마마깐은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식당을 말한다.
와룽은 식당이라기 보다는 간이음식점이라고 하는 편이 좋다.

 
● 우리나라와의 교통
 
  • 항공편

    우리나라의 KAL과 Asiana항공과 인도네시아항공(Garuda Indonesia)이 인천 - 발리 간의 직항로를 운항하고 있다. KAL은 인천 - 자카르타의 직항기도 운영하고 있다.

 
● 외국과의 교통
 
  • 항공편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 사이에는 여러 항공기가 운항된다.

 
● 국내교통
 
  • 버스

    인도네시아의 대중 교통수단인 버스는 종류별로 요금 및 시설 등의 차이가 있다. 시내요금은 구간에 관계없이 동일하며, 특히 버스는 정류장이 아닌 곳에 손님이 있는 경우에도 노선 어디서나 정차하는것이 특징이다. 버스에는 운전사 외에 조수(남자)가 동승하며 버스요금은 조수에게 지불한다.

    한인들은 소매치기나 안전상의 이유(간혹 귀금속류나 고가 시계, 고가품, 고액의 현금 등을 빼앗으려는 치기배가 있음)로 버스를 잘 이용하지 않고 보통 택시나 승용차를 이용한다.

  • 마을버스(Mikroret, Metro Mini)

    Mikroret은 하늘색의 Kijang 차량, Metro Mini는 붉은색의 봉고 차량에 주로 동네 골목골목을 운행하는 미니버스이다.

  • 택시

    자카르타에는 25개의 택시회사에 17,400여대의 택시를 보유하고 있으며, 택시는 중형택시(Silver bird)와 일반택시로 나뉘어 지며 요금, 서어비스 등에서 차이가 있다.
    택시요금 산정은 미터계로 하며 거리·시간병산제이며 모든 택시회사가 전화호출이 가능하며, 어느 지역, 원하는 시간에 택시를 부를 때의 유의사항 있다.
    만약 택시를 불렀을 경우에는 기본 호출요금이 6,000루피아이며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요금이 그 이하일 때도 6,000루피아를 지불해야한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전화로 부른 택시를 취소 할 경우에도 2,500루피아의 호출 취소비용을 지불해야한다.

  • 기타 대중교통수단

    버스나 택시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교통수단인 바자이(Bajai)나 오젝(Ojek: 오토바이)이 있다.
    요금은 보통 버스요금과 택시요금의 중간으로 운전사와 손님의 흥정으로 결정된다.


    • 바자이(Bajaj)

      2인승(운전수제외)의 삼륜차로서 주로 가까운 지역에서 운행되며 교통편이 없는 동네에서 편리한 교통수단이다.

    • 오젝 (Ojek)

      오토바이를 이용한 교통수단으로 교통혼잡이 심한 출.퇴근시간이나 버스에서 하차하는 큰길에서 집앞까지 가는 유용한 교통수단이다.
      장.단거리를 불문하고 단시간에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것이 장점이나 다소 위혐하기도 하다.
      운행시에는 운전사가 주는 헬멧을 꼭 써야 하며 쓰지 않으면 교통경찰에게 걸려 벌금을 물 수 있다.

 
● 전기규격
 

대부분 220 V, 50 Hz
한국에서 사용하던 전기용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작은 호텔과 지방 도시에는 일부 110 V도 있음.
PAL 방식

 
● 전화/전신
 

호텔, 백화점, 수퍼마켓, 공항등 외에는 공중전화 이용이 어려우며, 일반사무실, 가정전화도 고장이 잦다.
그러나 국제전화 IDD가 잘되어 있으며, 요금은 비싼 편이다.
인도네시아 안에서의 장거리 전화는 직통 다이얼 방식이다.
국제 직통 다이얼 시스템이 있어 주요도시에서 사용가능하며, 발리와 자카르타의 일부 호텔에선 객실에 이 서비스를 설치했다.
텔렉스와 팩시밀리 서비스도 주요도시와 호텔의 원거리 통신사무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한국으로의 전화

  • 호텔에서 전화를 이용할 경우는 다일얼링 순서는
    "0 또는 9번(외부전화 접속, 호텔마다 확인요) + 005 + 82 + 2(0을 뺀 지역번호) + 전화번호"

  • 공항또는 시내의 국제전화가 가능한 공중전화를 이용할 때는
    "005 + 82(한국 국가번호) + 2(0을 뺀 지역번호) + 전화번호)"
    한국통신 교환원 서비스 0018-0182
 
● 우편
 

우편이용시 늦게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DHL 등 속달을 이용하면 분실위험이 적다.
우편 서비스는 우체국은 물론 주요 거리에 우편서비스를 대행해주는 곳에서 하면 된다.

 
● 인터넷
 

주요 관광지에 인터넷 카페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가격 경쟁에 들어가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1분당 300Rp 정도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카페는 글자 그대로 음료 등을 마실 수 있으며 별도의 인터넷 사용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장소이다.

인터넷 카페 밀집지역으로는 꾸타의 레기안 거리와 포피스1, 포피스2에 주로 많으며 특히 포피스1 거리에서는 쉽게 찾을 수가 있다.
포피스 거리의 대부분의 인터넷 카페에서는 한글 지원이 되나 모니터가 작고 속도가 다소 느린 편이다. 대개의 이곳 포피스 거리의 인터넷 카페는 아침 8시경부터 새벽 2시 정도까지 영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2년 450만 명을 기록했던 인터넷 이용자 수는 2003년 800만 명을 넘어섰으며 2004년에는 1,200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또 인도네시아에는 "Game Center/게임방"으로 명명되는 컴퓨터 오락장이 자카르타에만 약 2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은 대부분 유명 백화점 등에 위치하고 있다.

 
● 신문, 정보지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신문으로는 Kompas, Jawa Pos, Pos Kota, Media Indonesia, Pikiran Rakyat, Suara Merdeka 등이 있다.

잡지는 TEMPO, GATRA, FEMINA(여성 잡지), Gadis (10대 소녀 잡지) 등을 꼽을 수 있다.

한글 신문으로는 <일요신문> 인도네시아판이 자카르타에서 발행된다.

 
● 치안
 

인도네시아는 치안이 불안하므로 밤에 혼자 돌아다니는 것은 삼가는 것이 좋다.
발리에서도 자주 관광객의 물건을 도독,날치기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2000년에는 한국인 상대 무장강도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화장실
 

인도네시아의 아파트나 백화점 건물의 화장실은 물론 우리의 화장실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일반 보통 서민의 주택의 전통적인 화장실은 다르다.
안에 들어가 보면 쪼그리고 앉아서 볼일을 보는 수세식 변기에 옆에 낮은 위치에 수도가 하나 달려 있다. 그 옆에는 양동이가 하나 있고 바가지가 하나 놓여 있다. 어떤 곳은 허리까지 오는 사각형의 작은 욕조가 있다. 이것은 앉아서 볼일 보고 오른손으로 물을 담은 바가지를 들고 왼손을 사용하여 밑(?)을 깨끗이 싹싹 닦고 손울 씻기 위한 것이다.
이런 화장실은 화장지도 없다. 화장지를 꼭 써야 한다면 항상 챙겨 다녀야 한다.

이러한 화장실 문화는 이슬람 국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언어
 

인도네시아는 300여 종족이 함께 어우러져 살고 있고, 250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로 1945년 제정된 헌법에서 국어로 '인도네시아어'로 통일하여 초등 학교부터 인도네시아'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교육수준이 낮은 지역이나 오지로 가면 그 지방언어 외에는 전혀 통하지 않아 인도네시아 현지인도 그 지역 언어와 '인도네시아어'를 함께 할 수 있는 통역이 필요하다.

인도네시아의 유명한 관광지에서는 영어가 통한다. 발리, 롬복, 족자카르타의 호텔과 관광지에서는 좀 통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거의 통하지 않는다.

 
● 주요 관광지
 

  • ※자카르타(Jakarta) 시내

    • Dhoka(구왕궁)
    • 국립중앙박물관
    • Balai Seni Rupa(미술박물관)
    • Pasar Burung(조류시장)
    • Ragunan Zoo(동물원)
    • Ancol 유원지
    • 독립기념탑(Monas)
    • 골동품 상가(Jl. Surabaya)
    • 민속촌(Taman Mini Indonesia Indah)
    • 독립광장(Merdeka square)
    • Bogor 식물원
    • 따만사파리(Taman safari)-뿐짝(Puncak)
    • 이슬람 대사원(Mesjid Istiqlal)


  • ※자카르타 북부섬

    • Putri 섬
    • Air 섬
    • Pelangi 섬


  • ※족자카르타(Yogya Karta)

    • 보로부두르 불교사원(Borobudur)
    • 쁘람바난 사원(Candi Prambanan)
    • 끄라똔(Kraton)
    • 믄듯 사원(Mendut)
    • 디엔 고원(Dieng)
    • 왕궁


  • ※발리(Bali)

    • 브두굴 (Bedugul)
    • 브라딴 호수(Danau Bratan)
    • 수목원(Kebun Raya)
    • 낀따마니 화산지대(Kintamani)
    • 덴파사(Denpasar)
    • 아트 센터(Art Center)
    • 발리 박물관(Museum Bali)
    • 사누르(Sanur)
    • 꾸따 & 르기안(Kuta & Legian)
    • 뿌리 루끼산 미술관(MuseumPuri Lukisan)
    • 우붓(Ubud)
    • 느까 미술관(Museum Neka)
    • 따나 롯(Tanah Lot)
    • 바뚜르 산(Gunung Batur)
    • 바뚜르 호수(Danau Batur)
    • 뜨루냔(Trunyan)
    • 서발리 국립공원(Bali Barat National Park)
    • 브사끼 사원(Besakih Temple)


  • ※롬복(Lombok)

    • 세나루 (Senaru)
    • 린자니 산 (Gunung Rinjani)
    • 마타람 (Mataram)
    • 따만 나르마다 (Taman Narmada) (국립공원)
    • 뿌라 링사르 (Pura Lingsar)
    • 수라나디 (Suranadi)
    • 수라나디사원
    • 후탄 위사따 (Hutan Wisata Suranadi)
    • 구눙 팡송 (Gunung Pensong)
    • 성기기 (Senggigi)
    • 바뚜 볼롱 (Batu Bolong)
    • 프라야 (Praya)
    • 수카라라 (Sukarara)
    • 쁘누작 (Penujak)
    • 렘비탄 & 사데 (Rembitan & Sade)
    • 꾸따 (Kuta = Putri Nyale Beach)
    • 꼬따 라자 (Kota Raja)
    • 떼떼 바뚜 (Tete Batu)
    • 렌당 낭까 (Lendang Nangka)
    • 길리섬 (Gilis)
    • 길리 아이르
    • 길리 메노
    • 길리 뜨라왕안


  • ※바탐(Batam)

    • 중국사원
    • 나고야시내
    • 원주민마을


  • ※빈탄(Bintan)

    • 솔 엘리트 빈탄(Sol Elite Bintan)
    • 파사르 올레올레 민속촌(Pasar Oleh-Oleh)
 
● 여행자 주의사항
 

가급적 현지의 관습을 존중하고 우리나라의 관습과 다른 점이 있더라도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만나고 헤어질 때 남녀 구별없이 악수하는 것이 상례
  • 힌두교사원, 성역: 입구에서 빌려주는 "허리띠"를 두르고 들어가야 함.
  • 공항, 호텔, 시장 또는 노상에서 여권 또는 현금이 들어 있는 손가방 등을 도난당하는 일이 빈발하고 있는 바 항상 소지품 관리에 각별 유의하여야 함.
  • 손가방 등을 자동차에 놓고 주차시키지 말 것
  • 식당에서 식사시, 호텔 check-in.out시, 택시이용시 소지품에서 주의를 게을리 하지 말 것
  • 현금이나 여권을 뒷주머니에 넣고 다니지 말 것
  • 항공편 등의 취소가 잦으므로 수시 확인 필요
  • 큰소리를 내거나 화내지 말 것
  • 음료수는 정류수 AQUA, ADES, OASIS 등을 마시는 것이 좋음. 기타 음료는 끊여서 마실 것
  • 몸에 상처가 나면 즉시 깨끗이 소독하고 치료할 것
  • 몸에 상처가 생기면 깨끗이 소독하고 치료할 것
  • 과일을 깨끗이 씻거나 껍질을 벗겨서 먹을 것
  • 의사의 처방 없이는 약을 구하기 어려우므로 비상약을 가지고 다닐 것
  • 목욕을 자주하고 몸을 청결히 할 것
  • 모기에 물린 곳을 긁고 방치하면 상처가 쉬 아물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할 것
  • 한국에 없는 바이러스가 많고 풍토병이 있어 조금 피로하거나, 컨디션 악화시 감기 몸살이 나므로 충분한 휴식을 취할 것
  • 한낮의 뜨거운 햇살 아래서는 가급적 보행을 삼가 할 것

:

  • 일류호텔, 레스토랑: 10%의 봉사료가 영수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5~10%의 팁을 따로 준다.
  • 택시: 대개 1,000루피아
  • 공항 포터나 벨보이에게는 짐 1개당 대개 1,000~2,000 루피아
 
● 기후
 

적도 남반부 위도 6도에 위치한 자카르타를 제외한 모든 섬들이 열대 지역에 속한다.

한해는 두 계절로 나뉘며 11∼4월까지는 우기, 5∼10월까지는 건기이다.

호우는 12월과 1월 사이에 집중되어 있고 전 군도의 평균 강우량은 102cm이다. 습도는 최저 69%에서 최고 95%이다.
고산지대의 밤에는 평균기온이 10℃ 정도나 떨어지고 습기가 있기 때문에 냉기를 막을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고산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섭씨 25∼35℃ 가량의 고온다습한 기후이다. 1000 m가 넘는 높은 산에서는 결빙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지역별 월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안의 숫자는 월평균 강우량 (mm)

자카르타 발리 바탐
1월 30 ~ 23 (162) 31 ~ 23 (347) 29 ~ 22 (238)
2월 30 ~ 23 (266) 31 ~ 23 (287) 30 ~ 23 (165)
3월 31 ~ 23 (281) 31 ~ 23 (213) 31 ~ 23 (173)
4월 32 ~ 24 (228) 31 ~ 23 (94) 31 ~ 23 (166)
5월 32 ~ 24 (170) 31 ~ 23 (76) 31 ~ 24 (170)
6월 32 ~ 23 (231) 30 ~ 22 (70) 31 ~ 23 (163)
7월 32 ~ 22 (276) 29 ~ 22 (50) 30 ~ 23 (149)
8월 32 ~ 22 (195) 29 ~ 22 (23) 30 ~ 23 (171)
9월 32 ~ 23 (124) 30 ~ 22 (40) 30 ~ 23 (163)
10월 33 ~ 23 (127) 31 ~ 23 (90) 31 ~ 23 (191)
11월 32 ~ 23 (142) 31 ~ 23 (154) 30 ~ 23 (250)
12월 31 ~ 23 (195) 31 ~ 23 (293) 29 ~ 23 (268)

 
● 여행하기 좋은 계절
 

인도네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우기 때도 여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많은 활동이 제약을 받을 수 있으며 개발이 덜 된 곳에서는 진흙길 때문에 통행이 상당히 어려운 경우도 생긴다.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를 여행하기에 가장 좋은 때는 건기철인 5~9월 사이다.

크리스마스 때는 호주 여행객이 유럽의 바캉스 계절에는 유럽인들이 상당히 많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한다. 인도네시아인들은 라마단 기간을 전후하여 휴가를 즐긴다.

 
● 화폐/환전
 

인도네시아의 화폐단위는 인도네시아 루피아(rupiah; Rp)이다.

현금, 여행자수표 은행, 호텔, 환전소에서 루피아로 쉽게 환전이 가능하다
일반 상점에는 달러를 잘 받지 않으므로 사전에 은행 또는 환전소에서 루피아로 환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1,000루피아 또는 10,000루피아 잔돈을 충분히 갖고 있는 것이 편리하다.
손상되거나 낡은 외화는 은행 또는 환전소에서 받지 않으므로 인도네시아 입국전 외화 환전시 신권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환전시 달러 화페는 고액권과 소액권의 환전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U$100,50,10,5,1 달러의 환전시 환율을 환전상마다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달러의 선호도 차이와 타 국가에 대한 문화차이로 이해하면 좋을 듯 하다.(고액, 신권, 현금을 높은 환율적용하는 경우)

 
● 쇼핑/특산물
 

자카르타 쇼핑 가이드

  • KOTA (꼬따 지역)

    전에는 모든 관공서 및 상권의 중심지였으나, 지금은 중국인들의 생활터전으로 중국상권이 거의 모두 이곳에 밀집해 있어 인도네시아의 차이나타운으로 불리 운다.
    아직까지 모든 물류 및 상품의 중심지이며, 좋은 물건을 아주 값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단 연중 내내 교통체중이 심하고 혼잡한 것이 단점이다.

  • GLODOK (글로독)-전자상가

    한국의 용산 전자 상가와 성격이 비슷하고 모든 전자, 가전제품을 값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으로 전자 계산기부터 최신기종 컴퓨터, TV, 비디오 레이져 디스크 및 각종 가전제품 등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 GLODOK (글로독) - 현지 시장

    한약재, 건어물, 청과물, 바틱 등이 유명한 곳이다.
    중국산 한약재중 우황청심환, 녹용, 십전대보탕 등은 우리 교민, 여행자들에게도 인기가 좋아 귀국시 선물 품목으로도 많이 찾는 것 중 하나이기도 하다.

  • PASAR IKAN (빠사르 이깐) - 수산 시장

    안쫄 항구가 근접해 있어 생선 및 모든 해물류를 신선하고 싼 맛에 구입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입항시에 맞추어 가면 아주 싱싱한 어류를 마음 놓고 고를 수 있다.

  • 망가두아 (ITC)

    한국의 남대문시장 또는 동대문시장과 같은 성격의 시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이곳에 가면 한국의 시장제품을 구할 수 있기도 하다.
    재미있는 것은 한국제품이 아닌데도 한국제품이라고 하면 더욱 잘 팔리고 비싸게 팔린다는 것이다. 이곳에서는 의류를 주로 하여 각종 생활필수품 등을 싸게 살 수 있는 곳이다.

  • 빠사르 바루 (PASAR BARU)

    의류 및 스포츠 용품의 산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의류와 스포츠용품 상점들이 거리에 즐비하게 있으며 오고 가는 사람에 치여 지칠 정도로 사람도 많다.

  • 빠사르 산타 ( PASAR SANTA)

    블록엠(BLOK M)지역 일면 '찌짜동네'라 불리 우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로 과일시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시장 입구에는 약 4개정도의 과일시장이 한국인 기호에 맞는 열대과일들을 많이 팔고 있다.
    이 시장의 장점은 다른 일반 슈퍼보다 과일을 저렴하게 살수 있고 고정가가 아니어서 흥정이 가능한 곳이기도 하다.

  • 빠사르 마예스틱 (PASAR MAYESTIC)

    시장의 형태는 현지인을 상대로 하는 대형 종합시장이지만 몇년 전부터 우리 교민이 이곳을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현지 시장 중 교통이 좋고 우리기호에 맞는 값싸고 신선한 야채 및 생선 등 다양한 종류가 많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일부러 우리 기호에 맞는 물건을 전시, 한국인의 눈길을 끌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 잘란 수라바야 ( JL.SURABAYA)

    조그만 규모의 점포들이 약 100여 미터 줄지어 서 있는 곳은 각종 골동품만을 판매하는 곳으로서 여러 가지 장신구, 칼, 램프, 악기 등등이 산더미처럼 쌓여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아내는 곳이다.
    특히 손으로 손잡이를 돌린 후 들을 수 있는 에디슨 형 축음기 등은 이곳의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이기도 하다. 골동품 애호가 이건 아니건 이곳을 돌아다녀 보는 것만으로도 커다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이곳은 자카르타에 사는 한인들보다 오히려 관광객들에게 더 유명한 곳이다.
    가짜 골동품이 있으니 주위해야 한다.

  • 대형 할인매장

    현재 영업중인 창고형 할인점은 마크로(Makro), 까르프(carrefour), 클럽스토어(club store)가 있다.
    마크로와 CLUB THE STORE 는 회원제이고, 까르프는 회원제도를 실행하지 않고 있다.

    위치는 자카르타 시내를 기준으로 클럽 더 스토어 JL.Sudirman에 위치하고, 까르프는 Cempaka putih에, 마크로는 Kelapa gading과 그 외에도 3곳이 있다.

인도네시아의 특산품으로는 바틱, 은제품, 목각품, 등재품 등이 있다.

 
● 주요연락처
 
  • 대사관
    전화 : (62-21)520-1915(대표)
    FAX : (62-21)525-4159

  • 대사관 영사과
    전화 : (62-21)520-8950(직통), 520-1915(대표)
    FAX : (62-21)525-3967
    E-mail : koremb_in@mofat.go.kr

  • 재 인도네시아 한인회
    (T) (021) 521-2515, 527-2054

  • 항공사

    • 대한항공:(시내) 521-2180 (공항) 550-2394, 2389
    • 아시아나:(시내) 571-2341 (공항) 550-3051-2

  • 경 찰 서:110

  • 화재신고:113

  • 앰블런스:118, 119

  • 안 내:시내(108), 시외(106), 국제(102)

  • 국제전화신청:104

출처 : 롬복에서 살자
글쓴이 : 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